감기가 걸려 버렸습니다. 비가 와서 쌀쌀해졌는데 반팔만 입고 산책했더니 걸려 버리고 말았네요. 엄마는 "오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데 네가 얼마나 헐렁하면 개도 안 걸리는 감기가 걸리겠냐. "라고 하셨습니다. 감기랑 헐렁한 거랑 뭔 연관이 있는 건가요? 예?.. 저는 코를 풀다가 문득 , " 근데 '오월' 을 왜 '오월' 이라고 하는 거지?  속담이라 그런가.. " 궁금했습니다. 어떤 게 맞는 걸까요? 

 

속담을 찾아보니 '오월 감기는 개도 아니 걸린다'  였습니다. 여기에는 '오월' 이라고 쓰여 있었어요. 
도대체 '오월 , 오월 , 오월 ' 중에 어떤 게 맞는 걸까요?

 

5월.6월? , 오육월 vs 오유월 vs 오뉴월 , 이라고 쓴 이미지
5월 6월

 

오육월 vs 오유월 vs 오뉴월

*오육월 : '오뉴월'의 비표준어(출처:고려대한국어대사전)

 

*오유월 :[방언] '오뉴월'의 방언(제주)(출처:우리말샘)

 

*오뉴월 : 
1. 오월과 유월. 또는 오월이나 유월 
2. 음력 오월과 유월이라는 뜻으로, 여름 한철을 이르는 말. 
(출처:표준국어대사전)

 

위와 같이 , '오월'이 맞습니다. 
'오육월'은 비표준어, '오유월'은 제주도 방언인데요. 방언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오뉴월'만 표준어입니다. 

 

'오뉴월' 이라고 하는 이유 

이렇게 [오뉴월] 이라고 하는 이유는 ,  5월[오월] 6월[유월]을 연속으로 말하면 부자연스럽고  발음상 스트레스를 주거든요. 그래서 '오뉴월'로 줄여서 발음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 1006을 [천뉵] 이라고 발음하고,  106을 [뱅뉵] , 16을 [십뉵] 이라고 발음하는 것과 같습니다. 

 

 

왜 하필 5월과 6월을 붙여서 부르는 걸까

'오뉴월' 이라는 말은 5월과 6월을 합쳐서 부르는 순우리말 표현인데요. 
 '오뉴월'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 
'음력 오월과 유월' 이라고 나와있거든요. 옛날에 쓰인 말로 추론할 수가 있어요. 요즘은 음력 잘 안 쓰잖아요. 
음력으로 5월,6월은 한여름입니다. 
옛날에 우리나라는 농경사회 였잖아요. 그래서 날씨에 굉장히 민감한 사회였는데요. 음력 5월과 6월 무렵부터 무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 5월과 6월 무렵을 묶어서 '오뉴월' 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오뉴월'은 단순히 5월,6월을 말하는 게 아니고요. '5월~6월의 덥고 습한 시기' 란 의미가 있는 겁니다. 이렇게 더운 시기에 감기에 걸리기란 쉽지 않은 것이죠. 

 

즉, 속담, '오뉴월 감기는 개도 아니 걸린다'는 
'이 무더운 시기(오뉴월)에는개도 감기에 안 걸리는데 , 너는 감기에 걸린 약골이구나'라고  놀리는 겁니다.
옛날부터 '개'는 사람을 무시하는데 많이 사용되었네요. ㅎㅎ;;

 

그런데 엄마는 "오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 다는데 ~"  '오월' 이라고 하셨네요. 틀렸네요. 푸하하하하
신기한 건 , '오유월'은 제주도 사투리인데 , 우리 엄마는 경상도 출신 이거든요. 미스터리네요. 

 

 

결론은 
'오육월'(x) - 비표준어 
'오유월'(x) - 제주도 방언 
'오뉴월' (o) -표준어 
'오뉴월'은  '음력 오월과 유월이라는 뜻으로, 여름 한철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