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걷기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밤에 한 시간 정도 걷는데요. 친구한테 같이 걷기 할래?라고 했더니 이렇게 답장이 왔습니다. "밤에는 좀 춥지 안아? " 오타인 줄 알았는데 또 오더군요. " 밤에 춥지 안냐고~ " 응 좀 추워. 외투 입고 와.
안녕하세요. 하루팡입니다. 근데 의외로 이 '않아'를 써야 할 때 '안아'를 쓰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제 친구처럼 어릴 때부터 외국에 살다 온 사람들도 그렇지만 , 한국에만 살아도 맞춤법이라는 것은 헷갈리거든요. 특히 어르신 분들이 '않아', '안아' 를 많이 틀리십니다. 한국어 맞춤법은 진짜 어렵습니다. 저도 나이 들면 헷갈릴 수 있으니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않아
'않아'의 기본형은 '않다'입니다.
◈ 않다 [안:타] : 동사의 연결어미 '- 지' 뒤에 쓰여 ,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 예를 들어 제 친구가 말 한 "밤에는 좀 춥지 안아?"에서 보면 , '-지 안아?'라고 쓰였잖아요. 앞에 연결해 주는 '-지'가 꼭 있어야 쓸 수 있는 게 '않다'입니다. 여기서 구별 법 나왔죠. 연결어미 '-지'가 앞에 있으면 '않다'를 써야 한다는 거요. 발음도 차이가 있습니다. 않다 [안:타] / 안다 [안:따]라는 거 기억하세요. 아래에서 또 한 번 언급할 겁니다.
*안아
'안아'의 기본형은 '안다'입니다.
◈안다 [안:따] : 두 팔을 벌려 가슴 쪽으로 끌어당기거나 그렇게 하여 품 안에 있게 하다. <표준국어대사전>
☞ 우리가 흔하게 말하는 '끌어안다', '포옹하다'의 뜻으로 '안다'이고요. 이때 발음은 안다 [안:따]입니다.
발음이 중요한데요. 위의 '않다 [안:타]''와는 발음에 차이가 있어요 → 않다 [안:타] / 안다 [안:따]. 그런데 뒤에 '-다'가 왔을 때는 발음에 차이가 있는데요. 뒤에 활용형으로 '-아'가 오면 발음이 다 같습니다. 않아 [안아] /안아[안아]. 이렇게 발음이 같다 보니 맞춤법이 더 헷갈리는 것이죠. 그러니 뒤에 '-아'가 올 때는 발음으로 구별하지는 못합니다.
구별을 해봅시다.
맨 위에서 '않다'는 앞에 연결어미 '-지'가 와야 한다고 했잖아요.
이제 , "밤에는 좀 춥지 안아? 는 틀렸다는 거 딱 알겠죠?
앞에 연결어미 '-지'가 있으니까 '않아'가 와야겠네요.
'-지'가 오느냐 안 오느냐로 구별하면 되는데 왜 발음 차이도 막 써재꼈냐고요?
그것은 기본형의 발음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아두면 기억에 더 오래가기 때문입니다.
뭐든 연관된 지식을 더 알아두면 가지처럼 이어져 기억에 더 오래 남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거든요. 므흐흐
결론은
'않아'와 '안아'는 앞에' -지'가 오느냐 안 오느냐로 구분하면 됩니다.
'-지'가 오면 '않아'. '-지'가 안 오면 '안아'입니다.
~지 않아 (ㅇ) / ~지 안아( x )
'몰랐던 지식 정리해둠 > 생활 속 맞춤법과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욕 vs 곤혹 / 맞춤법과 의미 - 자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곤혹스러웠다 (0) | 2025.05.14 |
---|---|
덜익다 vs 설익다 / 차이 - 컵라면은 설익은 게 맛있지 않아? (0) | 2025.05.13 |
할게요 vs 할께요 / 맞춤법 - 내일 할께요 (0) | 2025.05.12 |
만발 vs 만반 /맞춤법 - 만발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0) | 2025.05.08 |
아사모사 vs 어사무사 / 맞춤법 - 아사모사 하게 말하지 마시고 (0) | 2025.04.18 |
막말 vs 망발 / 맞춤법과 의미 - 그는 법정에서 망발을 하였다 (0) | 2025.04.16 |
괜찮아 vs 괜찬아 / 맞춤법 - 괜찬아 잘 될 거야 (0) | 2025.04.13 |
맨날 vs 만날 / 맞춤법 - 넌 맨날 게임만 하냐 (0) | 2025.03.2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