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엄마가 선풍기를 꺼내서 쌓인 먼지를 닦아 놓으라고 하셨습니다. 아직은 좀 이른거 같아 안닦아 놨는데 엄마가 또 왜 안닦아 놨냐고 뭐라 하시는 거에요. 그래서 " 내일 할요~." 라고 말씀 드렸어요. 순간 '할요' 인지 '할요' 인지 헷갈렸어요. 어떤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하루팡입니다. 표기할때 '할께요' 라고 쓰는 사람도 많고 '할게요' 라고 쓰는 사람도 많습니다. 저는 둘다 맞는 줄 알았는데요. 알아보니 아니더라고요.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올바른 표기는 '할요' 입니다. '게요'가 표준어 입니다. 

'할게요'가 맞는데 왜 사람들은 '할요' 라고 적어서 틀리는 걸까요? 

그것은 발음 때문입니다. '할게요' 읽어보면 발음이 [께요]로 나니까 들리는 대로 적다보니 그냥 '할께요'로 적는거죠. 

하지만 '할께요'는 틀린 표기이고 '할게요' 라고 표기해야 맞습니다.  

 

그러면 왜 '게요'가 맞을까요? 

그것은 '한국어 맞춤법 제 53항' 때문입니다. 

 

한국어 맞춤법 제53항을 보면 

『한국어 맞춤법 제53항 , '-(으)ㄹ걸/ -(으)ㄹ게/ -(으)ㄹ수록/ -(으)ㄹ세 / -(으)ㄹ시 / -(으)ㄹ지 ' 와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

라고 되어 있는데요. 여기서  ' -(으)ㄹ게'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어야 한다고 되어 있잖아요. '할게요'가 바로 '-(으)ㄹ게' 에 해당합니

다.  그래서 '할게요' 라고 적어야지   '할께요'라고 적으면 틀리게 되는 것이죠. 

 

'할게요'가 맞는 표기임을 설명한 손글씨 이미지
할게요 표기

 

여기서 중요한 것은 , '적는다' 라는 말이 중요합니다. 

발음이 [할께요] 라고 난다고 해도 적을때는 '할요' 라고 적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면 그냥 발음도 [할게요] 로 예사소리로 내면 안되나요? 

발음을 [할게요]로 내면 쓸때도 '할게요'로 쓰면 되니까 안헷갈릴거 아니에요.  라고 하는 분이 있을 수도 있는데요. 이건 또 안됩니다. 발음은 꼭 [할께요]로 내야해요. 그 이유는 표준 발음법 제 27항 때문입니다. 

『표준 발음법 제27항  ,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와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음한다' 라는 말입니다. 

 

'할게요'가 된소리[할께요]로 발음 되는 이유를 설명한 손글씨 이미지
할게요 발음

 

위와같이 '할'이 {-(으)ㄹ}에 해당하고 '게요'의 첫 자음 'ㄱ'이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 중에 'ㄱ'에 해당 되므로 된소리로 발음 해야합니다.  주의할 것은 , 발음은 표기가 아닙니다. 발음은 발음일 뿐입니다. 발음은 [할께요]로 내고 ,  적을 때는, 저 위의 한국어 맞춤법 제53항 대로 '-(으)ㄹ게' 로 예사소리로 '할게요'로  적어야 합니다. 즉, 읽을때는  [할께요]라고 발음해도 적을때는 반드시 '할요' 라고 적어야 된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할게요' 는 

표준 발음법 제27항에 의해 발음은 [할께요] 라고 발음 해야하고요. 

한국어 맞춤법 제 53항에 의해 표기는 [할게요] 라고 표기 맞습니다. 

 

이제부터는 저도 헷갈리지 않고 '할게요'로 정확히 쓸게요~ ! 게요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