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엄마가 선풍기를 꺼내서 쌓인 먼지를 닦아 놓으라고 하셨습니다. 아직은 좀 이른거 같아 안닦아 놨는데 엄마가 또 왜 안닦아 놨냐고 뭐라 하시는 거에요. 그래서 " 내일 할게요~." 라고 말씀 드렸어요. 순간 '할께요' 인지 '할게요' 인지 헷갈렸어요. 어떤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하루팡입니다. 표기할때 '할께요' 라고 쓰는 사람도 많고 '할게요' 라고 쓰는 사람도 많습니다. 저는 둘다 맞는 줄 알았는데요. 알아보니 아니더라고요.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올바른 표기는 '할게요' 입니다. '게요'가 표준어 입니다.
'할게요'가 맞는데 왜 사람들은 '할께요' 라고 적어서 틀리는 걸까요?
그것은 발음 때문입니다. '할게요' 읽어보면 발음이 [께요]로 나니까 들리는 대로 적다보니 그냥 '할께요'로 적는거죠.
하지만 '할께요'는 틀린 표기이고 '할게요' 라고 표기해야 맞습니다.
그러면 왜 '게요'가 맞을까요?
그것은 '한국어 맞춤법 제 53항' 때문입니다.
한국어 맞춤법 제53항을 보면
『한국어 맞춤법 제53항 , '-(으)ㄹ걸/ -(으)ㄹ게/ -(으)ㄹ수록/ -(으)ㄹ세 / -(으)ㄹ시 / -(으)ㄹ지 ' 와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
라고 되어 있는데요. 여기서 ' -(으)ㄹ게'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어야 한다고 되어 있잖아요. '할게요'가 바로 '-(으)ㄹ게' 에 해당합니
다. 그래서 '할게요' 라고 적어야지 '할께요'라고 적으면 틀리게 되는 것이죠.
여기서 중요한 것은 , '적는다' 라는 말이 중요합니다.
발음이 [할께요] 라고 난다고 해도 적을때는 '할게요' 라고 적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면 그냥 발음도 [할게요] 로 예사소리로 내면 안되나요?
발음을 [할게요]로 내면 쓸때도 '할게요'로 쓰면 되니까 안헷갈릴거 아니에요. 라고 하는 분이 있을 수도 있는데요. 이건 또 안됩니다. 발음은 꼭 [할께요]로 내야해요. 그 이유는 표준 발음법 제 27항 때문입니다.
『표준 발음법 제27항 ,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와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음한다' 라는 말입니다.
위와같이 '할'이 {-(으)ㄹ}에 해당하고 '게요'의 첫 자음 'ㄱ'이 뒤에 연결되는 'ㄱ,ㄷ,ㅂ,ㅅ,ㅈ,' 중에 'ㄱ'에 해당 되므로 된소리로 발음 해야합니다. 주의할 것은 , 발음은 표기가 아닙니다. 발음은 발음일 뿐입니다. 발음은 [할께요]로 내고 , 적을 때는, 저 위의 한국어 맞춤법 제53항 대로 '-(으)ㄹ게' 로 예사소리로 '할게요'로 적어야 합니다. 즉, 읽을때는 [할께요]라고 발음해도 적을때는 반드시 '할게요' 라고 적어야 된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할게요' 는
표준 발음법 제27항에 의해 발음은 [할께요] 라고 발음 해야하고요.
한국어 맞춤법 제 53항에 의해 표기는 [할게요] 라고 표기 맞습니다.
이제부터는 저도 헷갈리지 않고 '할게요'로 정확히 쓸게요~ ! 게요게요.
'몰랐던 지식 정리해둠 > 생활 속 맞춤법과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수밖에 vs 할 수밖에 vs 할수 밖에 vs 할 수 밖에 / 띄어쓰기- 인정할 수 밖에 없군 (0) | 2025.05.19 |
---|---|
오육월 vs 오유월 vs 오뉴월 / 맞춤법 - 오유월 감기는 개도 안 걸린 다는데 (0) | 2025.05.19 |
곤욕 vs 곤혹 / 맞춤법과 의미 - 자다가 다리에 쥐가 나서 곤혹스러웠다 (0) | 2025.05.14 |
덜익다 vs 설익다 / 차이 - 컵라면은 설익은 게 맛있지 않아? (0) | 2025.05.13 |
만발 vs 만반 /맞춤법 - 만발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0) | 2025.05.08 |
않아 vs 안아 / 맞춤법 - 밤에는 좀 춥지 안아? (0) | 2025.04.29 |
아사모사 vs 어사무사 / 맞춤법 - 아사모사 하게 말하지 마시고 (0) | 2025.04.18 |
막말 vs 망발 / 맞춤법과 의미 - 그는 법정에서 망발을 하였다 (0) | 2025.04.1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