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이민 간 친구가 있는데요. 간지 한 10년 됐는데 이 친구가 이제 한글을 잊어 먹더라고요. 말은 잘하죠. 근데 글을 쓰면 맞춤법을 진짜 다 틀려요 막. 제가 요즘 근심이 있어서 털어놨는데 톡으로 이렇게 답이 왔어요. "괜찬아 잘 될 거야." 저는 오타인 줄 알았는데 계속 '괜찬아' 라고 쓰더군요. 괜찬아 괜찬아 ~~ 그래서 틀렸다고 말을 해줬는데요. 근데 자기 가족들 다 '괜찬아'라고 쓴다네요. 하긴 다 미국에 사니까요 한글 쓸 일이 별로 없긴 하거든요. 그런데 이게 미국에 산다고 틀리는 게 아니더라고요.
안녕하세요. 하루팡입니다. '괜찬아'라고 쓰는 사람이 많다고? 이걸 누가 틀리나~ 했는데요. 알고 보니까 한국에만 살아온 사람들도 진짜 많이 틀린다네요. 어릴 때부터 맞춤법 공부를 안 한 사람이거나 , 나이 드신 분들은 책도 잘 안 읽고 글도 잘 안 쓰니까 잊어버려서 틀리고요.
'괜찬아' 가 아니고요. '괜찮아' ㄶ 받침이 들어간 게 맞습니다. ㅎ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럼 왜 이걸 틀릴까요?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발음 때문인데요. 발음에서는 [괜찬아 / 괜차나] 로 들리잖아요. '괜찮아'의 받침 ㄶ에서 ㅎ발음이 나지 않아서 그런 겁니다.
그러면 왜 'ㅎ' 발음이 안나는 걸까요? 예?
이유를 알아보기 전에 꼭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한글은 발음대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발음은 발음이고요. 표기는 맞춤법대로 써야 되는 겁니다.
'괜찮아'에서 ㅎ발음이 나지 않는 이유는요.
<표준 발음법 12항 4조>에 따르면 ,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미사가 오면 'ㅎ'을 발음하지 않습니다.
'괜찮아'는 ㄶ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아'가 오잖아요. 그래서 'ㅎ'을 발음을 하지 않으니 '괜찬아[괜차나]'가 되는 겁니다.
이것은 발음상으로만 이렇고요 표기할 때는 ㅎ을 써서 '괜찮아'로 써야 되는 겁니다.
위에서 , ㅎ(ㄶ,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미사가 오면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고 했잖아요.
그러면 ㅎ 뒤에 모음이 아닌 자음이 오는 '괜찮다'는 어떨까요?
'괜찮다'는 ㅎ(ㄶ) 뒤에 자음 '다'가 오잖아요. 모음이 아니고 자음이 오기 때문에 'ㅎ'을 빼면 안 되는 거죠. 즉 'ㅎ' 발음을 꼭 해줘야 합니다.
'괜찮타'의 발음은 [괜찬타] 입니다. "어라 여기도 'ㅎ'이 없는데요?라고 할 수 있는데요.
"ㄶ받침에서 'ㅎ'발음이 뒤의 자음 'ㄷ'에 덧나서 'ㅌ'으로 발음되는 겁니다. 그래서 [괜찬타] 로 발음되고 'ㅎ'발음이 ㅌ에 덧나는 겁니다. ㅎ발음이 없어진 게 아닌 거죠.
즉,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
'괜찮아'는 ㅎ발음이 나지 않아서 [괜차나]
'괜찮다'는 ㅎ발음이 ㄷ에 덧나서 [괜찬타]
이렇게 되는 것이죠.
결론은
'괜찮아'가 '괜찬아'로 발음된다고 표기할 때도 ㅎ을 빼고 표기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읽을 때는 [괜차나] 라고 읽어도 글로 쓸 때는 꼭 'ㅎ'을 넣어서 '괜찮아'로 쓰세요.
'몰랐던 지식 정리해둠 > 생활 속 맞춤법과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말 vs 망발 / 맞춤법과 의미 - 그는 법정에서 망발을 하였다 (0) | 2025.04.16 |
---|---|
맨날 vs 만날 / 맞춤법 - 넌 맨날 게임만 하냐 (0) | 2025.03.28 |
'비장의 무기' 에서 '비장'의 뜻이 뭘까요? (0) | 2025.03.24 |
조막 vs 주먹/ 맞춤법 - 얼굴이 조막 만하다 (0) | 2025.03.19 |
부응 vs 부흥 / 맞춤법 -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다 (0) | 2025.03.17 |
조치 vs 조취 vs 조처 vs 조차 / 의미 차이와 맞춤법 - 빨리 조취를 취해야 한다 (0) | 2025.03.17 |
'저금'과 '적금'의 뜻과 차이점 - 나 다달이 200씩 적금해요 (0) | 2025.03.10 |
꼬시다 vs 꼬드기다 / 맞춤법 - 너 나 꼬시냐? (0) | 2025.03.0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