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밥 vs 공깃밥>

A: 여기 공깃밥 하나 추가요~
B: 왜 공깃밥만 있을까? 사발밥은 없나?
A: 또 뭐래 ~ ;; 공깃밥 2개 달라고 하면 되잖아~
B: 아 ~ 그러면 되겠구나 ~
A: 야 근데.. 공기밥을 왜 공깃밥이라고 할까?
B: 밥에 공기가 들어서 그런거 아닐까? 'ㅁ'
A: 에라이 . 뭔 소리야 ~ -_-


#공기밥(空器 밥) 빌 공 , 그릇 기

: 공기에 담은밥
-->규범 표기는 '공깃밥' 이다.

★'공깃밥'이 맞춤법에 맞다

#공깃밥(空器밥)

발음 : [공기빱] [공긷빱]
뜻 : 공기에 담은 밥

<<출처: 표준어국어대사전/네이버국어사전>>


 

 


#. 순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 가운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때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아랫방 [아래빵] [아랟빵]

아래빵(房) -------->아랫방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

@'공깃밥'도 '아랫방'의 경우와 같다

*공깃밥 [공기빱]
공깃밥 -------> 공기 + ㅅ + 밥

한자어 '공기'와 우리말'밥'이 합쳐진 합성어 이다

[공기빱] --------------> 공깃밥
앞말이 모음으로 끝남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남

#결론은


'공기밥'은 틀리고
'공깃밥'이 맞다

 

 

02/사이시옷 현상

# 사이시옷 : 한글 맞춤법에서 , 사이소리 현상이 나타났을 때 쓰는 'ㅅ'의 이름.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가운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

harupa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