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 vs 댓가> - 푸틴은 전쟁을 일으킨 댓가를 치러야 한다. 

 

A: 푸틴은 제정신이 아닌 것 같아.  독재자는 언젠가 전쟁을 일으킨다 더니...

    그 말이 맞았네. 

 

B: 그러게... 그러면 시진핑도 김정은도 전쟁 일으키는 거 아니야?  'ㅁ'

A: 그 놈들도 독재 자니까 언젠가는 침략을 할 거야.  아마도.. 

B: 전쟁을 일으킨 푸틴은 꼭 댓가를 치러야 해. 

A: 맞아. 근데 그거 '대가' 아니야? 

B: 뭐? -.,- 또 시작이냐? 

    지금 전쟁이 났는데 그런 걸 따질 때야? 

A:푸틴은 '댓가'를 치러야 할까? 아니면 '대가'를 치러야 할까? 

B: 아 몰라. 둘 다 치르라 그래. -_-

 


#<댓가 vs 대가> 

'대가'가 맞다. 

'댓가'는 '대가'의 비표준어이다. 

그렇다면 '댓가'는 왜 안될까? 

'대가'와 '댓가'의 차이점은 'ㅅ'(사이시옷)의 유무이다. 

 

#'대가'(代價 / 대신할 대, 값 가) 

뜻 : 1. 물건의 값으로 치르는 돈 

     2. 일을 하고 그에 대한 값으로 받는 보수 

     3. 노력이나 희생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 또는 일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하는 노력이나 희생

 

<<출처: 표준국어대사전/네이버대사전>>


@사전에는 긍정적인 뜻으로만 설명되어 있는데 죄나 잘못에 대해 얻는 결과도 '대가'라고 하기도 한다. 

 

* 사이시옷(ㅅ)이 들어가지 않은 '대가'가 맞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가'에서 사이시옷(ㅅ)이 안 들어가야 맞는 이유 

*한글 맞춤법 제30항 

사이시옷(ㅅ)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한자어끼리의 합성어에는 표기하지 않는다. 

 

*대가(代價 /대산 할 대 , 값 가) <-- 한자어 

'대가'는 한자어 합성어 이기 때문에  사이시옷(ㅅ)을 표기하지 않는다. 

 

★결론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서 한자어 합성어인 '대가'에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다

--> 댓가(X) 

     대가(O)

 

푸틴은 전쟁을 일으킨 대가(O)를 치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