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택배 보내려고 우체국에 갔다 왔습니다. 거기서 궁금증이 생겼어요.  사람들 중에 상당 수가 등기를 '등끼'라고 발음을 하더군요. 나이 드신 분들은 대부분 [등끼]라고 그러고, 젊은 사람들은 좀 덜한데 그래도 상당수가 [등끼]라고 부르더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등기]가 발음이 편한데요. 왜 사람들은 [등끼]라고 발은 하는 걸까요?  심지어 친구에게 물어보니 친구도 [등끼]라 그러더군요. 제가 틀린 걸까요? 발음이 [등기]와 [등끼] 중에 어떤 게 맞는 것일까요? 

알아봤는데요.  이런 현상들이 된소리 현상 이잖아요.등기가 [등끼]로 발음되는 게 맞다면 이것도 된소리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등기'는 한자어 입니다.한자어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는 2가지 경우가 있어요. 국어의 음운 규칙에 의해 된소리가 나는 경우,  한자의 의미에 따라 된소리가 나는 경우입니다.
 

등기 vs 등끼

 

1. 국어의 음운규칙에 의한 된소리


원래 한자어는 그 자체로는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국어의 단어 내부에서 일정한 음운 규칙 적용을 받으면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①<ㄱ.ㄷ.ㅂ> 받침 뒤에 <ㄱ,ㄷ,ㅂ,ㅅ,ㅈ>이 오면 된소리로 발음된다. 
예) 학교 [학꾜] , 국사 [국싸] , 숙제 [숙쩨] , 압박 [압빡] ..

 
② 'ㄹ' 받침 뒤에 오는 <ㄷ,ㅅ,ㅈ> 이 된소리로 발음된다. 
예) 발전 [발쩐] , 갈등 [갈뜽] , 말살 [말쌀]...
<<참고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  [등끼]는 위의 두 경우에  해당이 되지 않네요. 


 

2. 같은 단어라도 한자에 따라 된소리로 나는 게 있다. 

한자는 의미 글자잖아요.  한글 발음이 같다고 해도 한자가  다른 게 굉장히 많거든요.  한글로 표기가 같다고 하더라도 구성하고 있는 한자에 따라 뜻이 달라져요.  즉, 한자어는 구성하고 있는 한자에 따라 의미와 발음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글로만 써놓으면 발음을 알 수 없는데요. 그래서 사전에는 한자에 따라 발음을 표기하여 구별해놓고 있습니다. 즉, 사전을 찾아서 발음을 확인을 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사적 vs 사쩍


예) 사적 
①. 史蹟(역사 사, 자취 적)  → [사 : ]  
:역사적 사건이나 자취 / 문화재 
 
②. 史的(역사 사, 과녁 적) → [사 :
:역사에 관한 것 , 오랜 세월을 두고 전해지는 것 
 
☞  한글 표기는 둘 다 '사적'이지만  ②의 경우 된소리인 [사쩍]으로  읽어야 합니다.
같은 예로 , 용건[용건/ 용껀] , 소수[소수/소쑤] , 경기[경기/경끼] , 광기[광기/광끼], 인기[인기/인끼] .. 가 있습니다. 

 
 

등기 vs 등끼

 

* 그렇다면 '등기'는 위의 두 경우 중에 어디에 해당할까요? 

놀랍게도 '등기'는 위의 두 가지 경우에 다 해당되지가 않습니다. 
1번의 음운의 규칙에 해당하지도 않고요. 


2번의 경우에 해당하는 게 있는지 사전을 찾아봐도 [등끼] 로 발음이 표시된 것은  없습니다. 
그냥 사람들이 잘못 발음하고 있는 거였습니다. 
 
결론은 '등기'는 [등기]로 발음해야 맞고요. [등끼]는 그냥 틀린 발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