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은 비가 자주 와서 외출하기 전에 꼭 날씨 검색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나오는 겁니다. '전국 강한 장비'. 응? 장비?  '장비'는 뭐야...  비가 장맛이라는 건가?  장비. 뭔가 좀 웃기기도 하고 이상하지 않나요? 
그런데 이 이상한게 맞는 것이었습니다. '장비'가 맞다니... '장마비'가 더 괜찮은데... 
그러면 왜 '장비'가 맞을까요?
 


 

'장맛비'에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이유 정리한 것
장맛비 사이시옷

 
장마비가 아니고 장비(사이시옷)가 맞다는 것을 이해하려면 먼저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사이시옷 규칙과 발음 입니다.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는 다음의 경우입니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에 따르면 
고유어로 된 합성어에서 뒷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 앞말의 받침에 'ㅅ'을 받쳐 적는다. 이 경우 [장마삐/ 장맏삐]로 소리나므로 '장맛비'로 적어야 한다. 
라고 나오는데요.  사이시옷 현상을 말하는 겁니다. 


 
*사이시옷 현상
순우리말이 포함된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 , 뒷 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앞말의 받침에  'ㅅ'을 적는다.  


 
☞위는 사이시옷 규칙중 하나 인데요.  '장마''비'는 각각 고유어로 순우리말입니다. 여기서 앞말 '장마'가 모음 'ㅏ'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비'를  발음했을 때 된소리[삐]로 나니까 , 된소리로 나는 '비[삐]'의 바로 앞말 '마'에 받침 'ㅅ'을 써야 합니다. 즉 '맛'으로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장비'로 표기를 하는 것이죠. 
 
 
뒷소리가 된소리[삐]로 난다고??., "아니 나는  '장비' 그냥 읽으면 [장마]로 발음 나는데? "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제 생각도 그냥 [장마]로 읽으면 안 되나.. 싶거든요. 
뭐 어쩌겠어요.  사이시옷 규칙이 존재하고  , 발음이 [장마]로 된소리가 난다는데 그렇게 외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언어라는게 이래서 어려운 거죠. 
 


 
 
결론은
사이시옷 규칙과 발음 때문에
순우리말 '장마'와 '비'의 합성어는 사이시옷 규칙과  뒷소리의 발음이 된소리 [삐]로 나므로   '마'의  받침에 'ㅅ'을 적어야 합니다.  → 장

장마비(X)
비(O)

반응형